주소 요약
주소 요약을 하는 목적은
서브넷팅 및 VLSM 을 실시한 IP 대역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라우터와 라우터 간에 라우팅 업데이트시 경로 정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해당 되는 클래스의 고정 마스크 값대로 요약을 하는것
일단 범위가 너무 크고
서로 다른 지역인데도 똑같이 요약이 될수 도 있다.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상세 요약
말 그대로 조금 더 상세하게 요약하는 것
13.13 까지는 ip구간이 똑같다
세 번째 옥텟부터 달라지고 이쪽을 이진수로 나타내서
공통비트를 묶는다.
각각 000000 과 000010 까지가 공통비트이고
여기까지 서브넷 마스크가 같다.
서브넷 마스크를 /22 로 구했으면
이제 원본 IP를 표현해주면
13.13.000000 이 공통비트이니 13.13.0.0 으로 표현하고
13.13.000010 이 공통비트이니 13.13.8.0 으로 나타낸다
밑에 1은 00001000 으로보면 8의 값이니 8로 나타낸다.
B 클래스 역시
공통비트까지 같은 마스크이니 마스크를 구해주고
원본 공통비트로 묶인 네트워크 대표값을 구하면
00100000 의 값은 32 이니
128.28.32.0 으로 요약할 수 있다.
A와 B클래스는
요약을 할 때 해당 클래스의 뒤쪽으로 요약을 했었다
A클래스는 2번째 옥텟부터 요약이 가능했고
B클래스는 3번째 옥텟부터 요약이 가능했다.
Classful 의 개념에서는 해당클래스의 뒤쪽으로만 요약이 가능하고
앞쪽으로는 요약을 하지 못했다.
위의 경우 C클래스는 해당클래스의 앞쪽이기 때문에
클래스풀요약과 상세요약은 하지 못했지만
Classless 개념이 도입되면서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로 인해
클래스에 얽매이지 않게 요약이 가능하게 되었다.
주소 요약은 대량의 IP 주소를 일일히 라우터에 경로 학습을 시키면
라우터의 메모리가 부족하고 성능도 저하되기에
요약해서 보낸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KT 라우터가 우리 나라 IP 경로를 미국회사 라우터에
업데이트 할 때 요약을 해서 업데이트 하는것
Cisco Ios 명령어
Cisco Router 장비에서 두들기는 명령어
Cisco 장비는 명령어 축약을 제공한다
원래 커맨드는 configure terminal 이지만
conf t 만 쳐도 알아서 편리하게 자동완성 해준다.
이름 설정 방법이다.
대부분 전송 장비들은 이름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컴퓨터의 RAM 과 비슷한 라우터의 RAM 도 휘발성 메모리이다.
재부팅하면 초기화가 되고 현재 동작하고 있는 라우터를 설정하면 저장되는 장소이다.
NVRAM 은 컴퓨터의 ROM 과 비슷한 메모리이고
재부팅되면 마지막에 참조하는 메모리이다.
그래서 보통 running-config 로 설정을 하고
그 설정을 startup-config 에 저장하면
재부팅 해도 현재 설정한 정보가 그대로 유지된다.
enable 은 관리자모드로 접속하는 명령어인데
위 enable secret cisco 는 비밀번호를 cisco 로 정해서
관리자모드로 접속할 때 패스워드를 물어보게 된다
아래 password cisco1234 는 또 하나의 방법이고
두 개 동시에 할 필요는 없고 secret 설정으로만 하면 된다.
암호화 했을 때 보안수준이 다르기 때문
암호화하는 명령어는
service password-encryption
여기서
이렇게 바뀐다.
딱 봐도 뭐가 더 복잡해 보이는지는 알 것임.
툴을 사용하면 바로 나오는 쉬운 암호
실제 접속을 한다면
콘솔 접속은 실제 라우터 장비와 PC 를 선으로 연결해서
PC 에서 접속 프로그램으로 라우터를 설정할 때
맨 처음에 입력하는 비밀번호 ciscocon
그 다음은 관리자모드 비밀번호 cisco
콘솔연결이 아닌 떨어진 곳에서 원격으로 접속할 때 쓰이는 비밀번호 ciscovty